투자교실 EDUCATION

  • 증권
    • 일반 절차
    • 호가
    • 체결 원칙/거래 시간
    • 증권거래 관리
    • ETF/ETN
  • 선물/옵션
    • 선물거래란?
    • 옵션거래란?
    • 증거금
    • 일일정산
    • 유형별 사례
    • 주문

현재페이지 위치

투자교실 증권 호가
고객과 함께! 지역과 함께! BNK투자증권은 언제나 여러분 가까이에 있습니다.

호가

투자자가 주식을 팔 때(매도) 부르는 가격을 매도 호가라 하고, 주식을 살 때(매수) 부르는 가격을 매수 호가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매도 호가는 낮을수록 매수 호가는 높을수록 거래가 체결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호가의 종류

① 시장가 호가
시장가 호가란,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지정하지 않는 호가로서 수량이 전량 충족될 때까지 가장 빨리 집행할 수 있는 가격으로 매매체결되는 호가로서, 호가한 수량을 신속히 확보할 수는 있으나 호가한 종목의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예상보다 불리한 가격으로도 체결될 수 있습니다.
② 지정가 호가
지정가 호가란, 종목, 수량 및 가격을 지정하는 호가로서 지정한 가격 또는 그 가격보다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거래를 하고자 하는 호가를 말합니다.
③ 최유리지정가 호가
최유리지정가 호가란, 시장가 호가처럼 호가할 때에는 가격을 지정하지 않으나 호가가 시장에 도달된 때 가장 빨리 집행될 수 있는 가격을 「지정」한 것으로 간주하는 호가로서 시장가 호가와 지정가 호가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④ 조건부지정가 호가
조건부지정가호가란, 매매거래시간 중에는 지정가호가로 매매거래에 참여하지만 매매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잔여수량은 종가결정(장종료 전 10분간 단일가매매)시에 시장가주문으로 자동 전환되는 호가입니다.
⑤ 최우선지정가 호가
최우선지정가호가란, 해당 주문의 접수시점에 자기 주문 방향의 최우선호가 가격으로 지정되어 주문이 제출되므로 매도의 경우 해당 주문의 접수시점에 가장 낮은 매도주문의 가격, 매수의 경우 당해 주문의 접수시점에 가장 높은 매수주문의 가격으로 지정한 것으로 보아 매매체결에 참여하는 호가입니다.

호가의 가격단위

호가 가격단위란 가격대별로 호가할 수 있는 최소단위의 가격을 말하며, 호가 가격단위는 거래를 표준화하고 가격협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하고 있습니다.

호가의 가격단위
기준가 호가단위
~2,000원 미만 1원
2,000원 이상~5,000원 미만 5원
5,000원 이상~20,000원 미만 10원
20,000원 이상~50,000원 미만 50원
50,000원 이상~200,000원 미만 100원
200,000원 이상~500,000원 미만 500원
500,000원 이상 1,000원
* ETF, ETN, ELW 상품 : 호가가격단위 5원

호가의 취소와 정정

호가의 취소란 이미 유효하게 접수된 호가의 의사표시를 취소하는 것으로, 취소의 효력은 미체결 잔량에 한하여 유효합니다.
취소에는 전량 취소와 일부 취소가 있는데, 일부 취소의 경우 취소 후 잔량에 대한 호가접수시간은 변경되지 않고
최초 접수된 시간으로 봅니다.

호가의 정정은 이미 유효하게 접수된 호가의 가격을 변경하는 것으로, 정정의 효력은 미체결 잔량에 한하여 유효합니다.
정정에는 전량에 대한 가격정정과 일부 수량에 대한 가격정정이 있는데,
전량정정의 경우 기존 호가는 정정호가 제출 시 새로이 호가가 접수된 것으로 보며,
일부정정의 경우 정정 후 잔량의 호가접수시간은 그대로 유효하지만, 정정수량은 정정호가 제출 시 접수된 것으로 봅니다.